본문 바로가기

의학 ★ 용어 공부

대상자의 영적요구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종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별,연령,직업,결혼상태,교육정도의 특성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이 결과는 성별,연령,교육정도,종교 등은 장루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와 관상동맥 우회술 대상자에서도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종교를 제외하고는 본 조사결과와
유사하였으며,종교를 가진 군에서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높았다는 선
행조사와는 일치하였다.그러나 연령이 증가 할수록,교육정도가 낮은
군(안화진,2006)이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높았다는 선행조사와는 상반된 결과를 초
래하여 추후 반복 조사가 필요하겠다.

 


조사대상자의 질병단계별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요구
조사대상자의 영적요구는 3.80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질병단계별 영적요구
는 질병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하부 영역 중 ‘죽음의 수용’영역에서만
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진행단계,진단단계,말기단계 환자 모두 영적요
구의 하부영역 중 ‘사랑과 유대감’영역에서 가장 높은 영적요구를 나타냈다.암환
자를 대상으로 한 영적 요구가 가장 높은 영역은 ‘희망
과 평화’영역으로 나타났으며,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하위
영역에서는 ‘삶의 의미와 목적’이 가장 높은 영적요구를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조사의 대상자가 암환자라도 암의 종류에 따라 요구도가 달라질 것으로 생각되어
추후 반복 조사를 통해 비교해볼 필요가 있겠다.

 


예배 및 집회의 참석정도와 영적건강에는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상자 및 문화적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한국 암환자들은 예배 및 집회참석 등의 종교적 활동을 통해 영적간호 요구를 충족
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추후 이에 대한 문화적 차이에 따른 영적 간호 요구
와 관련된 비교 조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