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 용어 공부

대장암 세포주에서의 RhoA 발현량 확인


통계분석
본 조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19.0 (Chicago, IL, USA) software을
사용하였다. RT-PCR과 western blot 및 세포의 기능적인 조사들은 one-way
ANOVA test와 student’s test를 이용하였고,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와
clinicopathological data 사이의 연관성은 chi-square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Hazard ratio와 95% confidence interval은 cox regression model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으며 Kaplan-Meier 방법을 통해 5년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
를 통해 나온 결과는 log-rank test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분석결과는
통계적 유의수준인 p < 0.05 이하 수준으로 정의하였다.

Fig. 7. Evaluation of RhoA expression in various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 using western blot Relative RhoA expression in
comparison with β-actin expression.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RhoA
expression in various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RhoA protein expression is
normalized with the expression of β-actin protein. RhoA was expressed the most high
in HCT116 cell line among other cell lines evaluated.

RhoA 발현 억제 세포주를 이용한 대장암에서의
대장암 세포주에서의 RhoA 발현량 확인
대장암 세포주에서 RhoA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대장암관련 세포인
SW480, SW602, colo201, colo205, HT29, LoVo, HCT116 의 RhoA 단백질 발
현량을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β-actin의 단백
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대장암 세포 중 HCT116 에서 RhoA 단백질발현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colo205 및 LoVo 순으로 나타났
다(Fig. 6). 따라서, 대장암 발암과정(carcinogenesis)에서 RhoA의 역할규명을
위해 대장암 세포주 인 HCT116 을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mRNA 수준에서의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의 RhoA 억제 효율
을 확인하기 위해 RT-PCR을 사용하였다. RhoA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HCT116 세포군 (HCT116-con)과 vector만 삽입
한 HCT116 세포군 (HCT116-vec), RhoA발현이 억제된 세포군
(HCT116-RhoAi)에서 Trizol reagent를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고 RT-PCR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은 자동전기영동장치인, QIAxcel System (Qiagen, USA)
을 통해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