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oA 발현 억제가 대장암 세포주 HCT116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의 HCT116 세포에서의 세포 이동을 확
인하기 위하여 migration (wound healing) assay를 진행하였다. 각 세포군의
세포들을 6-well 배양 plate에 부착된 culture insert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culture insert를 제거한 다음 12시간 간격으로 세포의 migration을 확인하였다.
Fig. 10에서 보여지는 것 처럼,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가 형질
도입된 HCT116-RhoAi 세포군의 이동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세
포 사이의 빈 공간을 무작위로 열 곳 이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통계학적 비교를 해본 결과 HCT116-con 세포군과 HCT116-vec 세포군 사이
에서는 유의성이 나타타지 않았다 (12시간: p = 0.830, 24시간: p = 0.927, 36
시간: p = 0.999). 그러나 HCT116-RhoAi 세포군은 HCT116-con 세포군과
HCT116-vec 세포군과 비교하였을 때 p =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보였다.
Fig. 11. Plasmid mediated anti-RhoA shRNA transfection
inhibits HCT116 cells migration Migration assay of HCT116 cells after
RhoA specific shRNA transfection. The cells were wounded at 0 hour and
cultured in RPMI1640 medium contained 10% fetal bovine serum. The cell gap
was monitored every 12hours. Cell migration images were taken every 12 hours
by invert microscope. (magnification: x400) There we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HCT116-con group or HCT116-vec group and HCT116-RhoAi group,
respectively (p=0.00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HCT116-con group and HCT116-vec group (12hr: p=0.830, 24hr: p=0.927, 36hr:
p=0.999, respectivel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ssessed using one-wayANOVA.
Fig. 12. Plasmid mediated anti-RhoA shRNA transfection inhibits
HCT116 cells invasion To assess the invasive activity of HCT116 cells after RhoA
specific shRNA transfection invasion assay was performed in Matrigel- coated transwell.
The invasive activity of cells were quantified 48hours after seeding. Cell invasion images
were taken by invert microscope. (magnification: x400)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ssessed using one-way ANOVA. * P < 0.000
RhoA 발현 억제가 대장암 세포주 HCT116의 침윤에 미치는 영향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의 HCT116 세포에서의 침윤을 확인하
기 위하여 matrigel invasion assay를 수행하였다. matrigel이 코팅된 culture
insert에서 세포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invasion 경향을 확인하였다.
Fig. 11을 보면 HCT116-RhoAi 세포군의 침윤능은 HCT116-con 세포군 혹
은 HCT116-vec 세포군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trigel
위에서 자란 세포의 면적을 계산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HCT116-con 세포군과 HCT116-vec 세포군 사이에서는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HCT116-RhoAi 세포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침윤 활성이 떨어진것을 확인하였다
Fig. 13. Plasmid mediated anti-RhoA shRNA transfection effects on
HCT116 cell morphology To compare the morphology of HCT116 cells after transfection,
the nucleus was stained with DAPI. HCT116-con group and HCT116-vec group showed elongated
cytoplasmic processes. However, HCT116-RhoAi group showed spherical cytoplasm without
elongated cytoplasmic processes and multi-nuclei in one cytoplasm such as giant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