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의 불확실성과 영적요구
암환자의 불확실성
암이란 진단 자체는 확실하나 치료의 효과가 암에 따라 명확하지 않아 암 진단
을 받고 살아간다는 것은 불확실성이란 단어로 표현할 수 있고,대상자들은 치료의
부작용이 생길 때 그러한 증상을 치료 실패의 증후로 오해하므로 불확실성 정도가
높아지게 되고 계속적인 치료가 없는 경우에도 암이 재발할 지에 대한 불확실성 정
도가 높아진다.
불확실성의 간호학적 정의로 암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서의 통제력의 상실로 간주하였다.
불확실성은 대응능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스트레스 정도를 높이고,적응을
어렵게 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은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고되었으며
유방절제술 환자가 경험하는 불확
실성의 정도는 높았으며,불확실성은 불안과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암환자들은 문제중심 대처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우울 경
향을 보이고,정서중심 대처방식을 선호하였으며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희망과 영적 안녕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시기별 불확실성,대처방식 및 우울의 변화
양상을 규명한 결과 불확실성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 점수가 높았다고 보고하였으며
위암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수술 전 정보를 제공한 결
과 불확실성,불안,우울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암환아 부모의 불확실성 경험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불확실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속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암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으로 치료의 효과가 불분명하고,반복되는
치료에 의한 부작용과 입원의 장기화,예측할 수 없는 미래,부정적인 치료결과,신
체적인 증상 변화 등으로 불확실성을 인지한다고 보고하는 등 암환자의 불확실성을
다룬 조사는 있으나,질병단계에 따른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는 없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