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번 공동배양실험을 통해 지방줄기세포가 대장암세포의 이주,침습,증
식,항암제 저항성의 증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
며,생체 내의 반응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향후 비만과 지방줄기세포의 관계를 정
립하고,대장암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체를 확인하여 비만과 대장암의 관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겠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대장암의 발생 및 사망률 증가추세로 10대 암 중 증가곡선
이 가장 가파르며 2013년 현재,대장암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암으로 대
장암 관련 조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간호 조사는 대장암 환자의 장루간호 및
자기 관리 경험 조사에 불과하며 대장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불확실성과 영적
요구와의 조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조사에서는 대장암 환자가 경험하는 불확실성 정도와 영적요구도를 파악하
고,질병단계를 진단단계,진행단계,말기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질병단계에 따른 불
확실성과 영적요구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조사이다.
조사의 대상은 2013년 7월 8일부터 9월 13일까지 서울 소재 S병원의 암센터 종양
내과 외래 및 대장항문외과 외래환자와 암센터 병동에 입원한 환자,혈액종양내과
병동과 외과병동에 입원하여 치료 과정 중인 만 20세 이상의 대장암 환자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조사도구는 불확실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ishel(1988)이 개발
한 불확실성 척도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MUIS)를 정재원(2005)이
도구 사용 허가를 받아 국문으로 번역,수정한 도구와 한국인 암환자의 특성에 맞
게 용진선(2008)이 개발한 영적요구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담을 통해 자료
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여 빈도,백분율,평
균과 표준편차,t-test,ANOVA, Scheffe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1.대상자의 불확실성 정도는 평균평점 2.74±.33점으로 나타났으며,진단단계 환자
의 불확실성은 3.00±.34점,말기단계 환자는 2.71±.28점,진행단계 환자는 2.62±.26점
으로 질병단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진행단계,진단단계,말기단계 환자 모두
‘애매모호성’영역에서 가장 높은 불확실성을 나타냈다.
2.대상자의 영적요구는 3.80±.45점으로,진단단계 3.84±.48점,진행단계 3.77±.39
점,말기단계 3.84±.65점으로 질병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죽음의 수용 영
역에서만 말기단계 3.69±.65점,진행단계3.66±.43점,진단단계 3.40±.54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712,p=.027).진단단계,진행단계,말기단계 환자 모두 ‘사랑과 유
대감’영역에서 영적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성별,연령,직업,결혼상태,교
육정도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종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F=3.245,p=.024)를 보였으며,기독교가 다른종교에 비해 불확실성이 높았다.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요구도는 성별(F=14.887, p<.001), 연령(F=2.944,
p=.015),교육정도(F=3.190,p=.026),종교(F=18.513,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