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 용어 공부

대장암 환자의 질병단계별 불확실성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질병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대한 영적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종교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영적요구정도는 종교(신)의 의미(F=19.485,p<.001),종교생활의 필요성
(F=21.088,p<.001).종교예배 및 집회 참석회수(F=13.870,p<.001),종교가 삶에 미
치는 영향(F=43.091,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장암환자의 질병단계별 그리고 전체대상자의 불확실성 정도와

 영적요구와의 상관관계는 관련성이 없었다.
전체 대장암 환자의 불확실성은 중정도이며,진단단계의 대장암환
자의 불확실성이 높게 나타났다.영적요구는 진단단계와 말기단계의 대장암환자에
게서 유사하게 나타났다.따라서 대장암 환자가 암 진단을 처음 직면하는 순간 질
병에 대한 불확실성정도를 감소시키고 영적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제
공된다면 암을 극복해 나가면서 보다 질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대장암 환자의 질병단계별 불확실성과 영적요구에
대한 추후 조사의 방향과 간호 실무 적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임상현장에서 대장암 환자의 질병 단계별 불확실성 정도를 사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도구개발과 질병 단계별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차별화된 간호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2)한국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만든 도구를 통해 대장암 환자의 영적 요구를 분
석한 것이 첫 시도이기에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추후 반복조사를 제언한다.

 

3)대장암 환자의 불확실성 인지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간호 상담 서비스
기능 강화 및 제도적으로 돕기 위한 휴먼 네트워크 중 가족,건강전문가,동료 환자
및 종교 등의 실질적 지지적체계 활용 및 연계체제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