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의 영적요구
영적건강이란 자기 자신,절대자,또는 타인과의 사랑,용서,신뢰의 관계 속에
서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희망과 관련된 영적요구들이 충족되었을 때 나타나는 상태이다
영성(Spirituality)은 영이 지닌 성질 또는 속성으로서 종교적인 신념이나
행위를 의미하는 것 이상의 인간의 내재적 자원의 총체로서,인간과 세계를 연결시
키는 믿음,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으려는 개인적 탐색 등으로 정의하였다.
인간의 영적 요구는 삶의의미나 죽음과 같은 궁극적인 문제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해답을 찾으려는
요구와사랑과 관계에 대한 요구,용서받고 싶은 요구 그리고 희망에 대한 요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사람은 종교가 있던지,없던지 간에 영적요구를 지니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도,
성경 읽기 그리고 영적 문제에 대한 대화와 같은 친숙한 의식이나
종교적 수행에 참여함으로서영적요구를 충족한다
영적건강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희망,대인관계,자기수용 등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영적 요구를 신과의 관계,삶의 의미와 목적,죽음의 수용,희망과 평화,사랑과 유대감의 5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희망,자기수용,대인관계,절대자와의 관계,불확실성 등의 5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평안,희망,자존감,신뢰 등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평안은
희망,자존감,신뢰와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이들 4개의 요인들은 각기 이론적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영적건강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암환자의 영적건강과 관련있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직업유무,가
족지지 만족도,종교의 의미,교육정도와 월수입,집회참석 정도 등이였으며,
질환관련 특성으로는 지각된 건강상태,진단명,치료형태와 피로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제 영향 요인들을 고려한 대장암 대상자의 영적건강 증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적건강에 대한 선행 조사들을 살펴보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영적건강과 불확실성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
의 영적건강 정도와 불확실성 정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영적건강 정도가 높
을수록 불확실성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영적건강과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
치는 제 특성으로는 개인이 하는 기도생활의 정도,집회 및 예배에 참석하는 정도,
종교가 삶에 미치는 영향 등이 영적건강상태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