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질병단계별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질병단계별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질병단계별 불확실성은 진단단계에서의 불확실성 정도가 진행단계
나 말기단계보다 높았으며,진단 후 경과기간에 따라 불확실성이 감소하는 경향으
로 나타났다.이 결과는 수술 전 진단 결과를 기다리는 시기에 불확실성이 가장 높았다는 유사하나,

수술 결과 기간이 1년인 군에서
가장 높았거나,심지어 수술 후 2년까지도 지속된다고보고된 조사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어 

추후 반복적인 조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조사에서 진행이나 말기단계에서는 진단단계보다 불확
실성이 감소하였는데 그 이유는 대장암환자의 치료형태가 종양의 크기가 아닌 종양
의 조직 침투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되어 대장암 병기별 치료 방법이 프로토
콜로 정해져있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진단받은 첫 시기에는 대장암 진단과 관련된
정서적 충격과 혼란 및 수술관련 치료결정을 앞둔 상태이기에 다소 높게 나타나지않았나 생각된다.

 

 

 

 

 

 질병단계를 치료단계로 보았으며 유방암 대상자의 치료 단계에

 따른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와 불확실성에 대한 기회평가는 치료 단계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위험평가는 치료 단계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본 조사와 대상자는 다르나 

진단단계의 대상자에서 불확실성 정도가유의한 차이가 있어 본 조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불확실성을 4개의 하부영역별로 비교분석해보면 애매모호성,불예측성,불일치
성,복잡성 순으로 애매모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질병단계의 환자 모두 질환
과 관련된 애매모호성 영역에서 불확실성이 가장 높았다.이 결과는 불확실성의 속
성 중 애매모호성이 가장 일반적인 특징이라는견해와 일치하며,질
환과 관련된 불확실성의 속성 중 애매모호성,불예측성,정보의 부족 순으로 불확실
성이 높았다는 결과와도 일치하였다.또한 항암요법을 받는 암환자
를 대상으로 한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애매모호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 본 조사결과와 유사하였다.정
보의 부족과 관련하여 정보 제공을 받은 위암수술 환자군이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군보다 불확실성 정도가 낮았고

정보제공이 암환아 부모가불확실성을 대처하는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