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oA를 억제한 HCT116 세포의 형태변화가 관찰되었다.
RhoA를 억제한 세포는 길쭉한 모양의 돌출부가 사라져 동그란 모양의 세포
질이 관찰되었다. 이와 달리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HCT116 세포
(HCT116-con) 혹은 vector만 삽입한 HCT116 세포 (HCT116-vec)는 본래
HCT116의 세포질 모양과 같이 길쭉한 모양의 돌출부가 관찰되었다. RhoA
억제 세포는 원형의 세포질을 보여주고 있으며 파골세포 (osteoclast)처럼 하
나의 세포질에 여러 개의 핵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었다.
이것은 RhoA가 액틴 세포골격 리모델링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63]. RhoA specific shRNA에 의해 RhoA가 억제된 세
포는 아마도 액틴 세포골격 리모델링 능력을 상실하여 세포 분열이 일어나
는 동안 핵 분열은 일어나고 있으나 세포질의 분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Francisco M Vega, et al의 실험에
서는 RhoA를 억제한 세포의 경우 대조군 세포에 비해 세포질이 길죽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64]. 본 조사에서 사용한 세포주와 Vega의 실험에서 사용
한 세포주가 대장암 세포주와 유방암 세포주로 다르다는 전제조건이 있기
때문에 세포 모양 변화에 대한 RhoA의 역할에 대해서는 더 많은 조사가 진
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장암환자 조직을 이용하여 Tissue Micro Array를 제작하였고
RhoA 단일클론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150 예의
대장암 조직 중에서 57.3%인 86 예에서 RhoA의 과발현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2008년 본 실험실에서 실시한 71 예의 대장암 조직에서의 RhoA 면
역조직화학염색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2008년의 조사에서는 RhoA의 과발현
이 lymph node metastasis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착안하여,
150 예의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와 clinicopathological data의 비교,
분석을 진행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RhoA
의 과발현은 pT stage, clinical stage, vascular and lymphatic invasion과 유
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대장을 포함한 유방, 폐, 난소, 고환암
에서의 RhoA의 과발현이 암의 stage와 유의함이 보고된 이전의 결과들과일치한다.
Faried A.는 RhoA가 암의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보
고하고 있으며[45] Yoshioka, K. et al는 높은 RhoA의 발현은 RhoA의 세포질
에서 세포막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여 RhoA-ROCK-actomyosin pathway를 자
극하여 침윤을 유도한다고 보고하고 있다[43]. 본 조사에서 분석된 RhoA의
과발현과 pT stage, clinical stage, vascular and lymphatic invasion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RhoA의 발현이 암의 성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암세포의 침윤과
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이전 조사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