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척도
불확실성 불확실성은 개발한 불확실성 척도 (Mishel's Uncertainty inIllnessScal:MUIS)를 도구 사용 허가를 받아 국문으로 번역,수정 한 도구를 이용하였다.본 도구는 불확실성의 4가지 하부영역인 애매모호성 13문항, 복잡성 7문항,불일치성 7문항,불예측성 5문항으로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MUIS는 5점 척도의 도구로,‘매우 그렇다’의 5점,‘그렇다’의 4점,‘그저 그렇다’가 3점,‘아니다’2점,‘전혀 아니다’의 1점이며,범위는 최저 32점에서 최고 160점까지이 며,점수가 높을수록 불확실성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조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91-.93이었으며,정재원(2005)의 조사에서 도구 의 신뢰도 Cronbach's =.85였고 본 조..
대상자의 영적요구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정도는 종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별,연령,직업,결혼상태,교육정도의 특성에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이 결과는 성별,연령,교육정도,종교 등은 장루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와 관상동맥 우회술 대상자에서도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종교를 제외하고는 본 조사결과와 유사하였으며,종교를 가진 군에서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높았다는 선 행조사와는 일치하였다.그러나 연령이 증가 할수록,교육정도가 낮은 군(안화진,2006)이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높았다는 선행조사와는 상반된 결과를 초 래하여 추후 반복 조사가 필요하겠다. 조사대상자의 질병단계별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요구 조사대상자의 영적요구는 3.80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질병단계별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