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 용어 공부

(64)
대장암의 치료 ...더보기 Chi square test 결과 RhoA의 발현과 원격 전이 사이에는 유의성이 보이 지 않았다. 그러나 cox regression model 분석 결과에서는 원격 전이를 갖는 대장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서보다 RhoA의 발현이 있었으며 통계적 으로도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RhoA발현은 lymph node metastasis 뿐 아니라 원격 전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RhoA는 세포 운동성의 중요한 조절자로 RhoA의 과발현은 세포의 운동을 촉진시 킨다고 알려져 있다[33]. 앞서 언급한 것처럼, Rho 단백질은 MMPs와 같은 단백질분해효소의 조절을 통해 세포외 기질 파괴를 촉진하여 암의 침윤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65]. ..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 RhoA를 억제한 HCT116 세포의 형태변화가 관찰되었다. RhoA를 억제한 세포는 길쭉한 모양의 돌출부가 사라져 동그란 모양의 세포 질이 관찰되었다. 이와 달리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HCT116 세포 (HCT116-con) 혹은 vector만 삽입한 HCT116 세포 (HCT116-vec)는 본래 HCT116의 세포질 모양과 같이 길쭉한 모양의 돌출부가 관찰되었다. RhoA 억제 세포는 원형의 세포질을 보여주고 있으며 파골세포 (osteoclast)처럼 하 나의 세포질에 여러 개의 핵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었다. 이것은 RhoA가 액틴 세포골격 리모델링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63]. RhoA specific shRNA에 의해 RhoA가 억제된 세 포는..
배양된 대장암 세포 배양된 대장암 세포에서 Rac는 세포막의 파동운동 (membrane ruffling) 및 세포의 퍼짐 (cell spreading)을 억제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혔으며, 대신 Rho가 lamellipodium (접착용 세 포족)의 확장에 관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7]. 또한 Arp2/3 복합체는 RhoA 의 효과기인 mDia13)에 부착하는 IRSp53를 활성화하여 세포의 운동방향을 1) lamellipodium : 접착용 세포족이라 불리며 이동하는 세포의 끝부분의 cytoskeletal protein actin이 돌출된 구조로 세포질내의 액틴 중합에 의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2) laminin : 기저막의 주성분인 세포접착성 당단백질. 마우스 EHS육종에서 최초로 분리 하였다. 정상인 사람의 체액..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의 증식 플라스미드 매개 RhoA specific shRNA를 이용한 RhoA의 억제 효율을 확 인하기 위해 RT-PCR과 western blot 방법을 사용하여 mRNA 수준 및 단백 질 수준에서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RT-PCR과 western blot은 각각 세 번의 실험을 진행하여 신뢰성을 높였으며, 보다 정확한 RhoA의 발현량 측정을 위 해 RT-PCR에서는 GAPDH의 발현량으로, western blot에서는 beta-actin의 발현량으로 normalization하였다. RT-PCR과 western blot 결과 모두 30%의 억제효율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결과는 20%의 억제 효율을 보여주는 Ma, J., et al[36]의 조사와 40% 억제 효율을 나타낸 Liu, X.P., et al[45]..
대장암 세포주 RhoA 발현 억제가 대장암 세포주 HCT116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의 HCT116 세포에서의 세포 이동을 확 인하기 위하여 migration (wound healing) assay를 진행하였다. 각 세포군의 세포들을 6-well 배양 plate에 부착된 culture insert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culture insert를 제거한 다음 12시간 간격으로 세포의 migration을 확인하였다. Fig. 10에서 보여지는 것 처럼, 플라스미드 매개 anti-RhoA shRNA가 형질 도입된 HCT116-RhoAi 세포군의 이동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세 포 사이의 빈 공간을 무작위로 열 곳 이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통계학적 비교를 해..
대장암 세포주에서의 RhoA 발현량 확인 통계분석 본 조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19.0 (Chicago, IL, USA) software을 사용하였다. RT-PCR과 western blot 및 세포의 기능적인 조사들은 one-way ANOVA test와 student’s test를 이용하였고,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와 clinicopathological data 사이의 연관성은 chi-square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Hazard ratio와 95% confidence interval은 cox regression model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으며 Kaplan-Meier 방법을 통해 5년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 를 통해 나온 결과는 log-rank test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분석결과는 통계적 유의수준인 p < 0.05 이..
RhoA의 기능 대장암에서 RhoA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해, RhoA specific plasmid mediated shRNA system을 이용하여 안정화 된 transfected HCT116 세포를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150 예의 대장암 환자의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 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1. stable transfected HCT116 세포를 이용한 세포 실험에서 RhoA가 억제된 세포는 세포의 증식, 세포의 이주 및 침윤이 아무것도 처리 하지 않은 HCT116 세포 혹은 vector 삽입 HCT116 세포에서 보다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2. 면역형광염색결과 세포 모양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RhoA가 억제된 세포는 본래 HCT116 세포의 모양과는 달리 원형의 세포질 모양을 보였으며 파골세..
강한 염색 Tissue Micro Array (TMA) 제작과 면역조직화학염색 Tissue Micro Array (TMA) block section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진행하였다. TMA 블록 제작을 위한 recipient block에 파라핀 포매한 150 예 의 대장암 FFPE (formalin-fixed paraffin embedded) 블록에서 두 부분의 암 조직을 추출하여 옮겨 심고 다시 파라핀 포매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TMA 블록은 29명의 환자 조직에서 추출된 58개의 core를 가지고 있다.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위해 4 ㎛ 두께로 박절한 후 자일렌으로 파라핀을 제거하였고 100%에서 70% 에탄올 순으로 함수하였다. 항원의 재활성을 위하여 압력가 열기에 넣고 0.1 M citrate buff..